Prin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내가 원하는 문자열을 보여줄수있다.
# 메모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과
# 사람에게 보여주기 위한 화면 출력하는 방법은 다르다
in: sentence =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25입니다.'
in: sentence
out: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25입니다.'
sentence라는 변수를 설정하고 변수를 확인했다.
in: Print(sentence)
out: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25입니다.
변수 sentence의 값을 화면에 출력했다.
format을 이용하여 문자열에 원하는 값을 넣을수있다.
in: print('제 이름은 {}입니다. 나이는 {}입니다.'.format(name,age))
in: name = '김길동'
in: age = 28
out: 제 이름은 김길동입니다. 나이는 28입니다.
사용자에게서 직접 입력을 받는 경우 input 함수를 사용하자.
in: name = input('이름 입력: ')
in: age = input('나이 입력: ')
in: print('제 이름은 {}입니다. 나이는 {}입니다.'.format(name,age))
입력: 홍길동, 25
out:
이름 입력: 홍길동
나이 입력: 25
제 이름은 홍길동입니다. 나이는 25입니다.
※ 숫자가 input 함수를 통해 입력되게 되면 문자열이 되므로 int혹은 float함수로 형 변환을 해야한다.
<실습>
유저한테서 KMH값을 입력 받으면, 그에 맞는 MPH로 변환하는 코드를 만드세요.
in:
KMH = input('속도(KMH)를 입력하세요: ')
KMH = float(KMH)
MPH = 0.6214 * KMH
print(MPH)
입력:90
out:
속도(KMH)를 입력하세요: 90
55.925999999999995
※ 속도와 거리 같은 하위단위가 있는 숫자를 받으려면 int함수를 가급적 피하고 float함수를 사용하는것이 좋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튜플과 세트: add, discard, 집합 연산자: ' | , &, - ' (0) | 2022.04.20 |
---|---|
[파이썬] 딕셔너리와 불린: get, keys, values, items, clear, zip, update, True, False (1) | 2022.04.20 |
[파이썬] 리스트: append, insert, remove, pop, index, in, sorted (0) | 2022.04.19 |
[파이썬] 문자열: upper, lower, slicing, split, replace, find, len, strip (0) | 2022.04.19 |
[파이썬] 기본 데이터 타입, 변수, 연산자 <시작!> (0) | 2022.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