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

Chat GPT를 이용한 도커와 쿠버네티스 배우기 (문답)

by eyoo 2024. 7. 22.

Q :
너는 이제부터 도커와 쿠버네티스 전문가야.
나에게 리눅스로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어떻게 활용해야하는지
A to Z입문자에게 가르치듯 설명해줘.

 

추가질문 :

혹시 각 챕터와 그 번호마다 주의해야할 점부가설명을 달아줄수 있어?


A :

물론입니다!

도커와 쿠버네티스는 현대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를 위한 강력한 도구입니다.

도커컨테이너 기술을 제공하고,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시스템입니다.

시작해보죠.

 

1. 도커(Docker)

도커는 애플리케이션을 독립된 환경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컨테이너 기술입니다.

1.1 도커 설치

리눅스(Ubuntu 기준)에서 도커를 설치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릅니다.

# 기존 도커 설치 파일 제거
sudo apt-get remove docker docker-engine docker.io containerd runc

#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gnupg lsb-release

# 도커의 공식 GPG 키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gpg --dearmor -o /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 도커 저장소 설정
echo \
  "deb [arch=$(dpkg --print-architecture) signed-by=/usr/share/keyrings/docker-archive-keyring.gpg]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
  $(lsb_release -cs) stabl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docker.list > /dev/null

# 도커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 도커 서비스 시작
sudo systemctl start docker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주의사항:

  • 도커 설치 중 오류가 발생할 경우, 각 단계에서 출력되는 메시지를 주의 깊게 읽고, 필요한 경우 오류 메시지를 구글링하여 해결하세요.
  • sudo 명령을 사용하므로 관리자 권한이 필요합니다.
  • 도커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지 않으면 수동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부가설명:

  • apt-get 명령어는 패키지 관리 도구로, 리눅스 시스템에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데 사용됩니다.
  • systemctl 명령어는 시스템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1.2 도커 명령어 기본 사용법

1. 도커 버전 확인

docker --version

 

2. 도커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이미지_이름

 

3. 도커 컨테이너 실행

docker run -d --name 컨테이너_이름 이미지_이름

 

4. 실행 중인 컨테이너 목록 확인

docker ps

 

5. 도커 컨테이너 접속

docker exec -it 컨테이너_이름 /bin/bash

 

6. 도커 컨테이너 중지 및 삭제

docker stop 컨테이너_이름
docker rm 컨테이너_이름

 

주의사항:

  • docker run 명령어를 사용할 때 -d 옵션은 백그라운드 모드로 실행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터미널이 컨테이너에 붙잡히게 됩니다.
  • 컨테이너삭제하기 전에 반드시 중지해야 합니다.

부가설명:

  • 도커 이미지는 애플리케이션과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읽기 전용 템플릿입니다.
  • 도커 컨테이너는 이미지를 기반으로 실행되는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입니다.

2. 쿠버네티스(Kubernetes)

쿠버네티스는 도커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입니다.

2.1 미니쿠베(Minikube) 설치

쿠버네티스 학습 및 테스트를 위해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는 미니쿠베를 사용합니다.

 

1. 필수 패키지 설치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a-certificates curl


2. 쿠버네티스 패키지 설치

curl -s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 sudo apt-key add -
cat <<EOF | sudo tee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deb https://apt.kubernetes.io/ kubernetes-xenial main
EOF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y kubectl


3. 미니쿠베 설치

curl -LO https://storage.googleapis.com/minikube/releases/latest/minikube-linux-amd64
sudo install minikube-linux-amd64 /usr/local/bin/minikube


4. 미니쿠베 시작

minikube start

 

주의사항:

  • 미니쿠베는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사용합니다. 시스템에 VirtualBox 또는 KVM이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 미니쿠베 실행 중 오류가 발생할 경우, 가상화 소프트웨어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부가설명:

  • 미니쿠베는 단일 노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를 로컬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는 노드(Node)로 구성되며, 각 노드는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2.2 쿠버네티스 기본 명령어

1. 클러스터 상태 확인

kubectl cluster-info


2. 노드 정보 확인

kubectl get nodes


3. Pod 배포

kubectl run my-pod --image=nginx --port=80

 

4. Pod 목록 확인

kubectl get pods

 

5. 서비스 생성

kubectl expose pod my-pod --type=NodePort

 

6. 서비스 목록 확인

kubectl get services

 

주의사항:

  •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할 때 리소스 이름과 속성을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 Pod 및 서비스 생성 시, 네트워크 설정에 유의해야 합니다.

부가설명:

  • 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는 시스템입니다.
  • Pod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작은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함께 사용하기

도커는 컨테이너를 만들고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쿠버네티스는 이러한 컨테이너들을 관리하고 오케스트레이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워크플로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도커 이미지를 빌드

docker build -t my-app .


2. 도커 허브에 이미지 푸시

docker login
docker tag my-app 사용자이름/my-app
docker push 사용자이름/my-app


3. 쿠버네티스에서 이미지 사용

apiVersion: apps/v1
kind: Deployment
metadata:
  name: my-app
spec:
  replicas: 2
  selector:
    matchLabels:
      app: my-app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my-app
    spec:
      containers:
      - name: my-app
        image: 사용자이름/my-app
        ports:
        - containerPort: 80

# yaml

위 내용을 'deployment.yaml' 파일에 저장한 후, 다음 명령어로 배포합니다.

kubectl apply -f deployment.yaml


4. 서비스 생성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app-service
spec:
  selector:
    app: my-app
  ports:
    - protocol: TCP
      port: 80
      targetPort: 80
  type: LoadBalancer

# yaml

위 내용을 'service.yaml ' 파일에 저장한 후, 다음 명령어로 서비스 생성합니다.

kubectl apply -f service.yaml

 

주의사항:

  • 도커 이미지를 빌드할 때 Dockerfile의 경로와 내용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도커 허브에 이미지를 푸시하려면 도커 허브 계정이 필요하며, 푸시 전에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 쿠버네티스 매니페스트 파일(deployment.yaml, service.yaml)의 문법과 속성을 정확히 입력하세요.

부가설명:

  •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과 설정을 포함하는 패키지입니다.
  • 쿠버네티스의 Deployment는 애플리케이션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Pod를 생성, 삭제, 업데이트합니다.
  • Service는 네트워크에서 Pod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LoadBalancer 타입의 서비스는 클라우드 제공자가 로드 밸런서를 생성하여 외부 트래픽을 Pod로 라우팅합니다.


A:

이제 도커와 쿠버네티스를 사용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더 깊은 학습을 위해 공식 문서와 다양한 튜토리얼을 참조하세요.

 

Q:

도커 학습을 위한 한국어 블로그나 문서가 있어?

1. 도커 공식 문서

2. 한국어 블로그

2.1 우아한형제들 기술 블로그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

우아한형제들의 기술, 서비스, 비전, 가치를 들려 드립니다.

techblog.woowahan.com

2.2 네이버 D2

3. YouTube 채널

 

 

댓글